미요시 나가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요시 나가요시는 1522년에 태어나 1564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호소카와 하루모토를 섬기며 세력을 키운 그는, 1549년 에구치 전투에서 승리하며 미요시 정권을 수립하고 실권을 장악했다. 그는 아시카가 쇼군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사카이의 경제력을 활용하여 기나이 일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만년에는 가신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권력을 빼앗겼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오다 노부나가보다 앞선 혁신적인 정책을 시행한 '프로토 노부나가'로 재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요시 정권 - 에이로쿠의 변
에이로쿠의 변은 1565년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가 아시카가 요시테루 쇼군을 암살하고 아시카가 요시히데를 옹립하려 한 사건으로, 무로마치 막부 쇠퇴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미요시 정권 - 미요시 삼인방
미요시 삼인방은 미요시 나가요시 사후 미요시 씨의 실권을 장악한 미요시 나가하루, 이이즈카 지카나가, 이와성 나가마사 세 명의 가신을 지칭하며, 미요시 요시쓰구를 보좌하며 정권 유지와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나 권력 다툼과 오다 노부나가와의 대립으로 몰락했다. - 아와국 (난카이도) 사람 - 모리 무라하루
모리 무라하루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동하며 세가와, 미요시 가문을 섬기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코쿠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임진왜란 당포 해전에서 전사한 무장이다. - 아와국 (난카이도) 사람 - 미요시 마사야스
미요시 마사야스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미요시 나가요시 휘하에서 활약하다 미요시 삼인중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살해하는 에이로쿠의 변을 일으켰으며, 오다 노부나가에 대항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오사카 전투에서 전사했다.
미요시 나가요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미요시 나가요시 |
로마자 표기 | Miyoshi Nagayoshi |
일본어 표기 | 三好 長慶 |
출생 | 1522년 3월 10일 |
사망 | 1564년 8월 10일 |
출생지 | 야마시로 국 |
사망지 | 가와치 국 |
다른 이름 | 센쿠마루 (千熊丸) (아명), 마고지로 (孫次郎) (통칭), 도시나가 (利長), 노리나가 (範長), 센쿠마 (仙熊), 산치쿠 (三筑), 일본의 부왕 |
계명 | 주코인덴젠쇼사쿠민시쓰신킨다이젠조몬 (聚光院殿前匠作眠室進近大禅定門) |
묘소 | 교토시 기타구 주코인 |
관위 | 이가노카미(伊賀守), 지쿠젠노카미(筑前守), 종5위하(従五位下), 종4위하(従四位下), 슈리노다이부(修理大夫) |
가문 | 미요시 씨 |
씨족 | 미요시 씨 |
아버지 | 미요시 모토나가 |
어머니 | 게이슌인 (慶春院) |
배우자 | 하타노 씨(波多野氏) (정실), 유사 씨(遊佐氏) (계실) |
자녀 | 요시오키, 딸, 미요시 요시쓰구 (양자) |
형제 | 미요시 요시카타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 (동생), 소고 가즈마사 (동생), 노구치 후유나가 (동생), 오니시 요리타케 (大西頼武) 부인 (여동생), 오가사와라 시게스케 (小笠原成助) 부인 (여동생), 시오타 잇칸(塩田一閑) 부인 (여동생) |
가문 문장 | Japanese crest Sanngai Hisi ni itutu Kuginuki.svg |
가문 문장 설명 | 3층 마름모에 못뽑이 5개 (三階菱に五つ釘抜) |
정치 경력 | |
직책 | 미요시 씨 당주 |
임기 | 1549년 ~ 1564년 |
전임 | 미요시 모토나가 |
후임 | 미요시 요시쓰구 |
막부 | 무로마치 막부 셋쓰 국 슈고다이(守護代), 고토모슈(御供衆)→쇼반슈(相伴衆) |
주군 | 호소카와 하루모토 → 호소카와 우지쓰나 → 아시카가 요시테루 |
소속 | 미요시 씨 |
종속 | 미요시 씨 |
주요 전투 | |
전투 | 교코지 전투 기타 다수 |
가족 | |
아버지 | 미요시 모토나가 |
형제 | 미요시 요시카타, 아타기 후유야스, 소고 카즈마사 |
배우자 | 하타노 다네미치의 딸 |
자녀 | 미요시 요시오키 |
기타 | |
활동 시기 | 센고쿠 시대 |
2. 생애
미요시 나가요시는 1522년에 태어났다. 성인식 후에는 마고지로 도시나가(magojiro Toshinaga)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이가의 지사(知事)로 불렸다.[26]
1536년 3월, 호소카와 하루모토 휘하의 군사령관이 되었으나, 세쓰 나카지마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후 미요시 나가마사와 미요시 마사나가의 지원으로 반란군을 섬멸했다.[27]
1538년, 아버지의 옛 거처가 쇼군에게 넘어가자 불만을 품고, 1539년 1월 14일 교토로 가 쇼군가를 방문했다. 이 시기 나가요시와 미요시 마사나가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는데, 이는 마사나가의 교토 장악과 가쓰쿠켄 슈소와 기자와 나가마사 사후 하루모토에 대한 영향력 때문이었다.[4]
이후 호소카와 가문의 가신으로 활약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1549년 호소카와 우지쓰나와 손잡고 하루모토를 배신했다. 셋쓰에구치 전투에서 미요시 마사나가를 격파하고, 1550년 셋쓰 국을 평정하며 미요시 정권을 수립했다.
1552년 무로마치 막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화친했으나, 1553년 다시 대립, 레잔 전투에서 승리하고 막부의 실권을 장악했다. 사카이의 경제력을 장악하고, 동생들을 각지에 배치하여 기나이 일대에 패권을 떨쳤다.
그러나 1561년부터 1563년까지 동생 소고 가즈마사, 미요시 요시카타, 적자 미요시 요시오키가 차례로 사망하면서 세력이 크게 쇠퇴했다. 만년에는 실권이 중신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넘어갔다.[42]
1564년 5월,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참언을 받고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를 주살한 직후 지병이 악화되어 같은 해 7월 4일 가와치 이모리성에서 병사했다. (향년 42세) 동생을 죽인 충격으로 6월 가독을 미요시 요시쓰구에게 양도하고 은거했다는 설도 있다.[16]
2. 1. 호소카와 가신 시대
다이에이 2년(1522년) 음력 2월 13일, 지금의 도쿠시마현 미요시시에서 호소카와 하루모토의 유력 중신 미요시 모토나가의 아들로 태어났다.[26] 덴분 원년(1532년), 모토나가를 두려워한 하루모토는 일향종의 힘을 빌어 모토나가를 살해한다. 이때 미요시 나가요시는 가와치 슈고다이인 기자와 나가마사의 도움으로 살아남아 호소카와 하루모토를 섬기게 된다.덴분 8년(1539년), 아버지의 영지를 상속받지 못한 불만으로 2천 5백의 병력을 이끌고 상경하여, 무력으로 옛 아버지의 영지를 돌려받는다. 이때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는 나가요시를 두려워해 오미로 도주하고, 호소카와 하루모토는 롯카쿠 사다요리에게 나가요시와의 화친에 힘쓰도록 부탁한다. 이렇게 해서 나가요시는 셋쓰 슈고다이, 고시미즈 성 성주가 되었다.
그 후, 나가요시는 호소카와씨의 중신으로 근무하며 기자와 나가마사와 유사 나가노리 등의 적대 세력을 격파하며 호소카와씨의 최고 실권자로 부상하게 된다.
덴분 17년(1548년), 호소카와 하루모토와 적대하던 호소카와 우지쓰나 측으로 배신하고, 이듬해 덴분 18년(1549년) 하루모토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오미로 추방하고, 적대하던 친척 미요시 마사나가를 토벌한다. 이로써 호소카와 정권은 무너지고, 미요시 정권이 탄생하게 되었다.
1536년 3월, 나가요시는 호소카와 하루모토 휘하의 군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세쓰 국 나카지마의 반란군을 공격했는데, 이 반란은 호소카와 하루쿠니와 홍안지 무장파 지도자 시모쓰케 요리모리가 이끌었다. 그러나 나가요시는 이 전투에서 패배하여 기자와 나가마사에게 도망쳤고, 미요시 나가마사와 미요시 마사나가의 지원을 받아 나카지마를 공격하여 7월 29일까지 반란군을 섬멸했다.[27]
1538년, 나가요시는 아버지의 옛 거처가 쇼군에게 차지당한 사실에 불만을 품었다. 1539년, 나가요시는 쇼군가의 요청으로 교토 방문 당시 아카마츠 하루마사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으며, 그의 부하 미요시 쓰네모리가 군대를 이끌었다.[4] 그 대가로 나가요시는 같은 해 6월 가와치국 17개 영지(가와치국 17개 영지)의 수령으로 임명될 것을 요청했고, 쇼군가는 이를 승인했다.
1540년 12월 15일, 나가요시는 야카미 성의 영주인 하타노 씨의 하타노 히데타다의 딸과 결혼했다. 1541년 9월경, 나가요시는 도시나가에서 노리나가로 이름을 바꾸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우바라 군 쓰가 영지에서 독자적으로 화폐세를 징수했다. 나가요시는 점차 시모 지구의 향리와 농민들(''국인'')에게까지 자신의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1541년, 호소카와 하루모토에 반기를 든 기자와 나가마사는 교토로 가서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와 하루모토를 추격했다. 1542년 3월 17일, 나가마사는 타이헤이지에서 나가마사와 싸우며 가와치 다카야 성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나가마사는 마사나가와 나가요시의 증원군이 합류한 나가노리에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5]
1544년, 나가요시와 쇼군 요시하루, 하루모토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 나가요시의 가신 와다 신고로가 간통 혐의로 산 채로 톱으로 썰리는 잔혹한 형벌을 받고 처형되었는데, 이는 나가요시의 명성을 훼손하기 위해 요시하루와 하루모토가 조작한 것으로 추측된다.[6]
1547년 7월 21일, 샤리지 전투에서[7] 나가요시는 하루모토에게 승리했다.[18]

1548년 음력 12월, 나가요시는 호소카와 하루모토에게 미요시 마사나가와 그의 아들을 추격하여 죽일 것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그래서 10월 28일, 그는 이전의 숙적이었던 호소카와 우지쓰나와 유사 나가노리와 손을 잡고 하루모토에 반기를 들었다.[8]
이듬해인 1549년 2월, 나가요시는 호소카와 하루모토, 미요시 마사카쓰, 롯카쿠 씨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후퇴시켰다. 6월 24일, 나가요시는 셋쓰에구치 전투에서 마사나가를 패배시켰다.
덴분 19년(1550년) 3월, 나가요시는 유사 나가노리의 도움을 받아 성을 함락하고 셋쓰 국을 평정했다. 12월 말, 나가요시는 마침내 요시테루 세력의 마지막 거점인 나가오 성을 함락시켰다. 이로써 호소카와 정권은 붕괴되었고 "미요시 씨 정권"이 탄생했다.
2. 2. 미요시 정권의 흥망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는 롯카쿠 가문의 중재로 덴분 21년(1552년) 1월, 나가요시와 화친했다.[34] 그러나 덴분 22년(1553년) 다시 요시테루와 대립하게 되었고, 교토 레잔 전투에서 승리한 후 요시테루와 화친하여 막부의 실권을 장악했다.[36]나가요시는 사카이의 경제력을 장악하고, 동생들을 각지에 배치하여 가와치, 야마토, 단바 등을 점령하며 기나이 일대에 패권을 떨쳤다.
그러나 미요시 정권은 나가요시가 구심점이었기 때문에, 에이로쿠 4년(1561년)부터 에이로쿠 6년(1563년)까지 동생 소고 가즈마사, 미요시 요시카타, 그리고 적자 미요시 요시오키가 차례로 사망하면서 나가요시는 심적으로 위축되고 몸에 이상이 생겨 세력이 크게 쇠퇴했다. 만년에는 실권이 중신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넘어가 히사히데가 좌지우지하게 되었다.[42]
2. 3. 말년
에이로쿠 7년(1564년) 5월,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참언을 받고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를 주살한 직후, 지병이 악화되어 같은 해 7월 4일 가와치 이모리성에서 병사했다. 향년 42세였다. 적자 요시오키가 전년에 먼저 죽었기 때문에 동생 소고 가즈마사의 아들 미요시 요시쓰구를 양자로 받아들여 대를 이었다. 일설에는 동생 후유야스를 죽인 충격으로 6월 가독을 요시쓰구에게 양도하고 은거했다고 전해진다.[16]동생 후유야스 주살설의 지지자는 진범이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 중 누군가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혹은 후세의 창작이라는 설도 있다.[16]

나가요시 사후, 미요시 요시쓰구(그의 동생 소고 가즈나리의 아들)가 계승했다. 나가요시는 1564년 이모리야마 성에서 죽었다.[17]
3. 인물
- 나가요시는 오다 노부나가처럼 사카이의 경제력에 주목했고, 조정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해마다 연가회를 개최하는 등, 교양이 풍부한 사람이었다.[47] 그러나 노부나가와 달리 막부를 존속시킨 채, 그 뒤에서 실권을 장악했기 때문에 이 점에서 노부나가와 다르다 하겠다.
- 나가요시는 돌아가신 아버지 미요시 모토나가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고지 3년(1557년)에 나가요시가 존경하는 승려 다이린소토의 힘을 빌어 류고잔 난슈지를 창건했다.[47] 다도인 다케노 조오, 센노 리큐가 수행했고, 다쿠안 소호가 주지로 역임한 이름난 사찰이다. 나가요시는 [백만 대군은 무섭지 않으나, 다이린소토의 일갈(꾸짖음)만큼 무서운게 없다]라고 항상 말할 정도로 다이린소토를 존경했다고 한다.[47] 한 예로 나가요시는 난슈지를 지나갈 때면 반드시 말에서 내려 걸어갔다고 한다.
- 이름은 관습적으로 [조케이]라고 읽히는 경우가 많지만, [나가요시]라 읽어야 한다.[47]
- 나가요시의 상은 비밀로 부쳐, 3년 뒤에 장례를 치렀다.[47]
- 나가요시가 살아 있을 때 마쓰나가 히사히데에 의한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암살 계획이 있었지만, 나가요시는 그 계획에 마지막까지 반대했다고 한다.[47]
- 와카와 다도 모임을 자주 열어 기나이의 문화인과 잘 어울리는 등 문화인으로도 뛰어나다 하겠다.[47] 동생 미요시 요시타카도 문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유능한 동생들을 각 분국에 분산 배치하여 각 지방의 토착 영주들을 규합했다.[47] 최전성기에는 야마시로부터 이세까지 9개 국을 지배하에 두고 센고쿠 다이묘로 이름을 떨쳤다.
4. 평가
미요시 나가요시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했다.
오다 노부나가처럼 나가요시는 사카이의 경제력에 주목했다. 도시 경제의 부와 수익성 있는 무역을 통해 막대한 군비와 군수품을 쉽게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가요시는 증조부 미요시 유키나가와 아버지 모토나가 때부터 호소카와 영지의 지역 사무라이들과 관계를 맺었다. 특히 강력한 해군을 포함하여 뛰어난 능력을 가진 동생들이 지배하던 시코쿠의 군사력과 나가요시 자신의 뛰어난 능력이 더해져 미요시 군의 전성기 군사력을 강화시켰다. 아와가 오가사와라라 불리던 시절부터 미요시 가문의 혈연 의식은 강했고, 나가요시 시대에 그의 동생들이 아와 방위를 굳건히 하여 다른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19]
1549년부터 1568년까지 나가요시가 지휘한 미요시 정권은 궁정과 막부 양쪽의 중앙 정부를 통제했는데, 아마노는 이를 노부나가 통일 이전의 통일 정부의 선구자로 보았다.[20] 미요시 정권과 노부나가의 유일한 차이점은 미요시 정권은 막부 행정부를 꼭두각시로 유지하고 뒤에서 의례적 명령과 관료제의 범위를 통제한 반면, 노부나가는 막부를 해체하고 자신의 행정부로 대체했다는 것이다.[20] 미요시 가문의 부상은 중앙 정부의 전통적 질서 부재, 즉 구 중앙 정부 체제를 대표하는 호소카와 가문이 채워야 할 부분의 부재 때문이라고 타카히로 베이브는 평가했다.[21]
4. 1. 당대의 평가
여러 사료에서 미요시 나가요시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호조 고다이키』에서는 그를 오다 노부나가, 아케치 미쓰히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같은 급의 뛰어난 영주로 평가하고 있다.[57] 『조사쿠 소테키와기』, 『교양군감』, 『호죠 고다이키』, 『당대기』 등의 서적은 에도 시대 초기까지 성립된 것이지만, 모두 나가요시에 대해서 호의적으로 묘사하고 있다.[57]4. 2. 에도 시대 이후의 평가
에도 시대 중반 이후부터 미요시 나가요시(三好長慶)에 대한 평가는 낮아졌다. 이 시대 역사가들은 나가요시를 악당이자 배신자로 묘사되는 가신 마쓰나가 히사히데(松永久秀)의 배경 인물로 격하시켰다.[19] 이른바 "일본 통일 삼영걸"(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과 비교되면서 나가요시의 존재감은 역사 기록에서 점차 희미해졌다. 다나카 요시나리(田中義成)의 「아시카가 시대사(足利時代史)」와 「오다 시대사(織田時代史)」에는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았다.[57] 오랫동안 미요시 나가요시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마쓰나가 히사히데에게 중앙 정부를 독점하도록 허용한 무능한 지배자였다. 라이 산요(頼山陽)는 자신의 저서에서 나가요시를 "늙고", "병들고", "무지한" 인물로 묘사했다.[57]4. 3. 현대의 재평가
근대 역사 연구자들은 에도 시대의 부정적인 평가를 재평가하고 이의를 제기했다.[59] 이마타니 아키라, 아마노 다다유키, 야마다 야스히로 등은 미요시 정권과 무로마치 막부 말기에 관한 책을 출판하여 미요시 나가요시와 미요시 가문의 오다 노부나가 이전 통치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59] 최근 연구에서는 미요시 나가요시가 실제로는 능력 있는 센고쿠 시대 지도자였으며, 당시로서는 혁신적이라고 여겨졌던 정책을 시행한 점에서 '프로토 노부나가'적 특징을 지녔다고 평가받고 있다.[61][62][63]5. 가족 관계
아버지 | 미요시 모토나가 |
---|---|
어머니 | 불명 |
형제 | 미요시 요시카타, 아타기 후유야스, 소고 가즈마사 |
배우자 | 하타노씨 (하타노 다네미치의 딸)[55] |
자녀 | 미요시 요시오키 |
6. 관련 작품
徳富 信哉|도쿠토미 신야일본어 『요운―전국 격상·미요시 나가요시의 생애』(세이스이샤,1992년 9월. ISBN 978-4791307296)
- 스와 마사노부 『미요시노의 꽃―미요시 나가요시의 생애』(긴다이분게이샤,2003년 6월. ISBN 978-4773370379)
- 데미즈 야스오 『미요시 나가요시―전국 천하인』(교이쿠슈판센타,2007년 10월. ISBN 978-4905702504)
- 徳富 信哉|도쿠토미 신야일본어 『미요시 나가요시』(고분샤 시대소설 문고, 후에 가쿠요쇼보 인물 문고, 2010년 5월. ISBN 978-4-313-75260-3)
- 三宅 仁士|미카키 히토시일본어 『신 미요시 나가요시전―용은 천도를 간다』(겐토샤,2019년 10월. ISBN 978-4344924369)
- 三宅 仁士|미카키 히토시일본어 『미요시 나가요시의 유명ー시노하라 나가후사 시혼록ー』(郁朋社, 2021년 10월. ISBN 978-4-87302-744-9)
- 三宅 仁士|미카키 히토시일본어 『나는 귀신이다 도가와 카즈타미전』(郁朋社, 2022년 9월. ISBN 978-4-87302-769-2)
- 감수: 아마노 타다유키, 그림: 하마노 사쿠노 『이이모리 성주・미요시 나가요시와 다이토의 역사 ~전국 시대편~』(다이토시 산업·문화부 평생학습과, 2022년 10월. ISBN 없음)
- 감수: 스도 시게키, 그림: 아루마지로 『미요시 나가요시 아와가 낳은 전국 시대 최초의 천하인』(일반사단법인 도쿠시마 경제동우회, 2023년 5월. ISBN 없음)
- 「오다 노부나가에 앞서 등장한 무장 미요시 나가요시 ~오사카부 다이토시~」『미스터리어스 재팬』(BSテレ東|BS테레토일본어, 2019년 4월 6일, 7:30~8:00)
- 「노부나가보다 20년 앞섰던 남자 최초의 "천하인" 미요시 나가요시」『역사 비화 히스토리아』(NHK総合|NHK 종합일본어, 2019년 6월 19일, 22:30~23:20)
- 「노부나가보다 먼저 천하인이 된 남자 미요시 나가요시」『일본! 역사 감정』(BS-TBS|BS-TBS일본어, 2019년 9월 16일, 22:00~22:54)
- 「~환상의 천하인의 명성에서 보물이 나왔다! 전 112개 연못 거대 몬스터 포획의 순간~」『긴급 SOS! 연못의 물을 전부 빼는 대작전』(テレビ東京|테레비 도쿄일본어, 2022년 4월 10일, 18:30~21:00)
- 「전국 시대 최초의 천하인은 노부나가가 아니라 미요시 나가요시였다」『속보! 일본사 스쿠프포』(BS松竹東急|BS쇼치쿠토큐일본어, 2022년 6월 5일, 21:00~22:00)
- 「격돌! 미요시 나가요시 VS. 아시카가 쇼군 ~무로마치 막부의 "끝의 시작"~」『영웅들의 선택』(NHK BSプレミアム|NHK BS 프리미엄일본어, 2022년 6월 22일, 20:00~20:59)
- 「노부나가도 따라 했다!? “혁신가” 미요시 나가요시」『선인들의 저력 지혜의 샘』(NHK Eテレ|NHK E테레일본어, 2023년 10월 10일, 22:00~22:45)
- 하늘과 땅과(1969년, 연:梅野 泰靖|우메노 야스시일본어)
- 신장 KING OF ZIPANGU(1992년, 연:中丸 新将|나카마루 신쇼일본어)
- 키린이 온다(2020년, 연:山路 和弘|야마지 카즈히로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三好長慶」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2-15
[2]
웹사이트
飯盛山城
https://web.archive.[...]
大東市
2019-07-25
[3]
서적
Japanese Tea Culture: Art, Hist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6-01
[4]
논문
細川晴元内衆の内訌と山城下郡支配
https://osaka-ohtani[...]
大阪大谷大学志学会
2022
[5]
서적
戦国合戦大事典 四 大阪・奈良・和歌山・三重
新人物往来社
1989
[6]
웹사이트
戦国時代、鋸引きの刑で地獄の苦しみを味わいながら死んだ3人の男たち
https://news.yahoo.c[...]
渡邊大門 無断転載を禁じます。 © LY Corporation
2023
[7]
서적
新修・大阪市史, Volume 10
https://books.google[...]
大阪市
2024-06-01
[8]
위키소스
足利季世記
https://ja.wikisourc[...]
1902
[9]
서적
Sengoku War Encyclopedia 6 Kyoto, Hyogo, Okayama
Shinjinbutsu Oraisha
1989
[10]
논문
信長上洛前夜の畿内情勢―九条稙通と三好一族の関係を中心に―
2009
[11]
서적
戦国合戦大事典 四 大阪・奈良・和歌山・三重
新人物往来社
1989
[12]
서적
岸和田城物語
泉州情報社
1986
[13]
서적
岸和田市史 第2巻 古代・中世編
岸和田市
1996
[14]
서적
戦国三好一族 天下に号令した戦国大名
洋泉社
2007
[15]
서적
群書類従 第拾參輯
{{NDLDC|1879780/320}[...]
経済雑誌社
1894
[16]
위키소스
足利季世記
https://ja.wikisourc[...]
1902
[17]
간행물
飯盛山城と三好長慶
NPO法人摂河泉地域文化研究所
[18]
서적
(제목 없음)
2010
[19]
서적
戦国時代、村と町のかたち
山川出版社
2004
[20]
서적
「義輝の政治活動とその原因」『戦国末期の足利将軍権力』
吉川弘文館
2020
[21]
서적
戦国期細川権力の研究
https://www.yoshikaw[...]
吉川弘文館
2024-06-01
[22]
웹사이트
三好長慶
(Kotobank 링크 추정)
[23]
웹사이트
『吉備群書集成』収録『吉備温故秘録』
https://dl.ndl.go.jp[...]
2020-05-31
[24]
논문
山口県文書館蔵(毛利家文庫)『澄水記』(翻刻)
https://doi.org/10.2[...]
学校法人 尚絅学園 尚絅大学研究紀要編集部会
2015-03
[25]
서적
『地下家伝』
[26]
서적
(제목 없음)
[27]
서적
(제목 없음)
[28]
서적
(제목 없음)
[29]
서적
(제목 없음)
[30]
서적
(제목 없음)
[31]
서적
(제목 없음)
[32]
서적
(제목 없음)
[33]
서적
(제목 없음)
[34]
서적
(제목 없음)
[35]
서적
(제목 없음)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서적
戦国期細川権力の研究
吉川弘文館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서적
地下家伝 第27-33 (日本古典全集 ; 第6期)
https://dl.ndl.go.jp[...]
日本古典全集刊行会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서적
戦国時代、村と町のかたち
山川出版社
[63]
서적
日本史のなかの戦国時代
山川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